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제] 엥겔지수란? 엥겔계수란?

by Gloriously 2023. 3. 29.
300x250

엥겔지수, 엥겔계수의 뜻 알아보기



무인아이스크림 매장 창업
시급 12만원의 비밀 바로가기 (<<클릭)

1. 엥겔지수


"엥겔 지수"는 일반적으로 경제학의 법칙 중 하나입니다. 이 법칙은 소비자 지출과 소득 간의 관계를 설명합니다.

엥겔 지수는 소비자 지출 패턴이 소득 증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자가 음식과 같은 필수적인 생필품에 쓰는 비율은 감소하고, 반면에 럭셔리 상품이나 서비스에 쓰는 비율은 증가합니다.

즉,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자는 필수적인 생필품에 대한 지출 비율이 줄어들고, 이를 대신하여 럭셔리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지출 비율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경향은 빈곤층에서는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엥겔 지수는 소비자 행동 및 소비 패턴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지표입니다. 이 법칙은 경제학 이론의 기초 중 하나로 여겨지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2. 엥겔지수 예시


예를 들어, 가정의 소득이 1백만 원에서 2백만 원으로 증가하면, 가정이 식료품 및 생필품에 지출하는 비율은 감소하고, 대신에 럭셔리 상품이나 서비스에 지출하는 비율은 증가할 것입니다.

엥겔 지수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됩니다.

엥겔지수 : (지수산정 대상 상품군의 지출 / 총 소비 지출) × 100

즉, 엥겔 지수는 지수산정을 하고자하는 상품군(예: 음식, 럭셔리상품 등)의 지출액을 총 소비 지출액으로 나눈 다음 100을 곱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 가정의 총 소비 지출액이 100만 원이고, 음식 지출액이 50만 원이라면, 음식에 대한 엥겔 지수는 (50만 원 / 100만 원) × 100 = 50%가 됩니다.

3. 국가별 엥겔지수


국가별 엥겔 지수는 국가별로 다르며, 소득 수준, 문화, 지리적 조건 등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고소득 국가에서는 필수적인 생필품에 대한 지출 비율이 낮고, 럭셔리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지출 비율이 높습니다.

반면에 저소득 국가에서는 필수적인 생필품에 대한 지출 비율이 높고, 럭셔리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지출 비율이 낮습니다.

일부 국가의 엥겔 지수 예시입니다.

1) 미국

식료품에 대한 엥겔 지수는 약 6%, 소비재에 대한 엥겔 지수는 약 5%이고, 럭셔리 상품에 대한 엥겔 지수는 약 7%입니다.

2)  일본


식료품에 대한 엥겔 지수는 약 20%, 소비재에 대한 엥겔 지수는 약 10%이고, 럭셔리 상품에 대한 엥겔 지수는 약 6%입니다.

3) 중국

식료품에 대한 엥겔 지수는 약 30%, 소비재에 대한 엔겔 지수는 약 18%이고, 럭셔리 상품에 대한 엥겔 지수는 약 3%입니다.

4) 인도

식료품에 대한 엥겔 지수는 약 50%, 소비재에 대한 엥겔 지수는 약 30%이고, 럭셔리 상품에 대한 엥겔 지수는 약 1%입니다.
이러한 엥겔 지수 차이는 국가별 소득 수준, 문화, 경제 상황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4.한국의 식료품 엥겔지수 변동현황


우리나라의 식료품 엥겔지수는 1990년대 초반부터 점차적으로 감소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은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래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의 연도별 식료품 엥겔지수 입니다.

2000 34.1%
2001 34.2%
2002 33.5%
2003 33.3%
2004 33.1%
2005 33.0%
2006 32.6%
2007 32.1%
2008 31.9%
2009 31.8%
2010 31.6%
2011 31.3%
2012 30.9%
2013 30.7%
2014 30.4%
2015 30.2%
2016 29.9%
2017 29.6%
2018 29.7%
2019 29.8%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의 식료품 엥겔지수는 2000년대 초반부터 2010년대 중반까지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일정 수준에서 안정화된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대한민국의 경제 변화와 가계 구조의 변화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300x25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