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을 알아볼때 꼭 나오는 용어 DTI알아보기


무인아이스크림 매장 창업
시급 12만원의 비밀 (<-클릭)
1. DTI의 정의
DTI 는 Dept To Income의 약자로 소득대비 부채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산식으로 풀어보면,
[주택담보대출 연간 원리금(원금+이자) + 기타대출 이자] / 연간소득
위와 같습니다. 즉, 연간 지출되는 주택담보대출 원리금과 신용대출 등 다른 대출의 이자의 합계가.. 연간 총소득 대비 몇퍼센트 수준인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2. DTI란 언제쓰이나 (DTI 활용)
1) 은행입장
- 은행입장에서는 돈을 빌리는 사람이 원금과 이잘 잘 상환할 수 있는지를 판단해야겠죠? 그래서 소득대비 빚이 얼마나 있는지를 대출해주기 전에 심사하는데 이때 활용합니다.
2) 정부입장
- 정부입장에서는 국민들이 과도한 빚을 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방안으로 활용됩니다.
빚이 과도한 사람들이 상환을 못하게 되면, 은행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예금주 및 정말로 필요한 돈을 빌리고자 하는 사람에게도 영향을 주게됩니다.
따라서 정부는 은행 및 금융권에 DTI ㅇㅇ% 내에서만 대출을 해주라고 가이드를 주는 것입니다.
얼마전 주택경기 호황기처럼 너도 나도 집을 사려고 빚을 내려고 하니 정부에서는 이를 통제하는 수단으로 DTI를 활용했습니다
3. DTI와 LTV의 관계는?
-DTI와 LTV는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합니다.
1) 충분한 담보물이 있더라도 (주택 등) 정기적인 소득이 부족하면 원리금 상환이 어려울 수있기때문에 소득을 보는 것이고 (DTI)
2) 충분한 소득이 있더라도 대출 금액이 큰 경우 원리금을 회수 못할 리스크가 없는 것은 아니기때문에 안전하게 담보를 맡아두는 것 (LTV)입니다.
즉, 금융기관은 대출을 위해 두가지를 모두 살핍니다.
@ 만약 10억원 주택을 구매하려고 돈을 빌리려는 사람이 있고 (정부의 LTV기준을 70%로 가정)
@ 대출 희망 금액이 7억원(30년 상환조건에 원리금 330만원)
@ 연소득이 3천6백만원인 사람이 있다면,
(정부의 DTI기준이 50%로 가정)
-> LTV 측면에서는 충족하지만
(10억 × 70% =7억)
-> DTI 측면에서는 기준을 훌쩍초과하기에 대출을 받기가 어렵습니다
(330만×12개월) / 3천6백만원×100% = 110%
대출을 알아볼때 꼭 두가지 개념은 이해하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댓글